우리 헌법의 평균 수명은 4.3년이었는데, 87년 헌법은 30년 째 유지되고 있다. 30년 전에 비해 정치, 사회적 환경이 변하였는데 국가의 근본 규범인 헌법은 수 십년 째 그대로인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도 있고, 장수하는 헌법이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의 문제라는 반론도 있다. 촛불정국을 거쳐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여망을 안고 등장한 문재인 정부도 지방선거에서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개헌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관련된 글
-
-
[알쓸신잡 24호] GM 한국 철수설, 먹튀 논란
콩콩, , 칼럼, 0
알아두면 쓸데 있는 잡학사전 ❏ GM의 현주소 GM은 24개국에 28개의 해외 자회사를 가지고, 169개국에서 자동차를 판매하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
-
[알쓸신잡 6호] 노키즈존(no kids zone)을 아시나요?
콩콩, , 칼럼, 0
알아두면 쓸데 있는 잡학사전 ❏ 노키즈존의 확산❍ 노키즈존이란 ‘아이를 동반하고 입장할 수 없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이들의 특정 행동이나...
-
-
우리미래 미래정치연구소 [이슈브리핑 07호] 탈원전으로 가는 길
콩콩, , 칼럼, 0
2017년 6월 19일 0시, 대한민국 최초의 고리원전발전소 1호기는 77년 완공 이후 40년 만에 영구 정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탈핵 국가로...
-
[청년과정치 칼럼] 공유경제사회, ‘경제적 자유인가 불안한 미래인가’
ourfuture_blog, , 칼럼, 4차산업혁명, 공유경제, 우버, 택시, 0
요즘 택시와 ‘타다’를 비롯한 공유경제업체와 관련한 논란이 뜨겁다. 규제로 인해 공유경제업체의 싹을 잘라 자칫하면 4차산업혁명 시대에 뒤처질 수 있다고...
-
[알쓸신잡 19호] 서울시 미세먼지 정책, 뜨거운 감자!
콩콩, , 칼럼, 0
알아두면 쓸데 있는 잡학사전 ❏ 서울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조치로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 시행❍ 서울시가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을 위해...
미래시티에서 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 하세요.
Group Forum
Groups
-
활동중 16 시간, 18 분 전
-
활동중 1 일, 22 시간 전
-
활동중 5 일, 4 시간 전
-
활동중 5 일, 14 시간 전
-
활동중 1 주, 2 일 전